순서도는 순서도 도형 의미를 기반으로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의 흐름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미리 정의된 기호와 연결선을 통해 복잡한 업무 절차, 프로그램 논리, 문제 해결 과정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죠.
특히 도형의 올바른 의미를 알고 활용하면 가독성이 높아지고, 협업과 의사소통도 훨씬 원활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순서도 도형이 가지는 의미와 기호별 특징을 정리하고, 실제 작성 시 유용한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파트 1. 순서도 도형 의미 알아두기
1.순서도 기호 의미
순서도는 처리하고자 하는 문제를 분석하여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지정한 기호와 흐름선을 활용해 프로세스와 단계 간의 상호관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만든 그림입니다. 순서도 기호와 이를 이어주는 화살표를 이용해 주어진 문제에 대한 솔루션 모델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순서도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문제의 분석, 디자인, 설계 등의 활용도가 높습니다.
국제 표준화 기구는 1965년 10월 CS7 총회에서 결의된 기호를 순서도에 작성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순서도 기호를 사용할 때는 몇가지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사용 규칙
• 순서도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
•그리는 순서: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름선: 교차해도 무관
•내부: 처리해야 할 내용 기입
•기호의 모형: 가로, 세로의 비율이 정하지 않으나 잘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Flow chart 도형 & 설명
순서도를 때로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라고도 하는데요 이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기호들은 대략 30개 정도가 되며 이를 다시 기본 기호, 프로그래밍 관련 기호, 시스템 관련 기호로 구분합니다.
순서도 작성에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상자 모형과 화살표들은 각각 명칭과 뜻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순서도 기호 의미를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순서도를 작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실수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기본적인 순서도 작성부터 전문적인 순서도 까지 작성하기 전에는 가장 먼저 순서도 기호를 명확하게 숙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아래는 순서도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기본 기호이며, 기호 옆에는 명칭과 순서도 기호 설명도 함께 표기되어 있습니다. 순서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순서도의 시작과 끝, 흐름선 등 기본기호들은 무조건 알아야 작성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출처:https://ko.wikipedia.org/
파트2. 보드믹스(Boardmix)로 순서도 작성하기
보드믹스(Boardmix)는 화이트보드 기반의 협업툴로, 각종 다이어그램과 플로우차트 그리기에 최적화된 도구입니다. 개인이나 소규모 팀은 무료 버전으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며 플로우차트, SWTO분석, 마인드맵 등 기본적인 업무용 템플릿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순서도나 다이어그램 그리기에 필요한 각종 도형과 기호들을 라이브러리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보드믹스가 협업툴인 만큼 팀원들과 실시간으로 화상회의를 하며 동시에 작업도 할 수 있어 재택근무나 원격수업에 매우 유용합니다.
반면 보드믹스는 아직 한글 버전이 정식으로 런칭 되지 않아 현재는 한글 작성이 불가하며, 사용방법 등에 대한 정보나 자료가 국내에는 많지 않습니다.
✅보드믹스(Boardmix)의 주요 특징
다양한 순서도 도형 제공 – 기본 프로세스, 결정, 입력/출력, 문서 등 표준 기호를 손쉽게 사용 가능
드래그 앤 드롭 편집 – 마우스로 간단히 도형과 연결선을 배치하여 직관적인 편집 지원
실시간 협업 기능 – 팀원들과 동시에 같은 순서도를 작성하고 피드백 반영 가능
클라우드 기반 저장 – 언제 어디서나 접속해 작업 가능, 버전 관리도 손쉽게 지원
다양한 파일 내보내기 – PDF, PNG, SVG 등으로 결과물 공유 및 문서화 가능
무료 시작 가능 – 별도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접속해 사용 가능

1) 라이브러리에서 순서도 기호 확인하기
순서도 기호를 숙지 했다면 보드믹스에서 직접 순서도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순서도 작성을 위해 보드믹스를 실행해 작업 캔버스에 접속합니다. 접속 후 왼쪽 상단에 있는 메뉴 중 5번째 sharp library 메뉴를 클릭합니다. 라이브러리 메뉴는 다시 베이직, Flow, UML, BPMN으로 나누어지는데 순서도에 활용하는 기호들은 플로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좀더 간편하게 순서도 그리기를 완성하고 싶다면 템플릿 메뉴에서 플로우차트 템플릿을 활용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2) 순서도 예제 작성하기
순서도 예제로 온도가 30도가 넘으면 “날씨가 덥다”라고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날씨가 덥지 않다”를 출력하는 간단한 알고리즘 순서도 기호를 생각해 봅시다. 이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순서도를 그리기 위해 보드믹스 라이브러리에 있는 순서도 기호를 작업 캔버스에 옮기고 내용을 입력합니다.

3) 화살표 연결하고 완성하기
마지막으로 화살표를 연결해 순서도를 완성합니다. 화살표 기능은 왼쪽 메뉴에서 라이브러리 기능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습니다.

결론.
정리하자면, 순서도 도형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명확하고 효율적인 순서도를 작성하는 핵심입니다. 기호는 간단하게 작성하고, 조건문은 입력·출력 규칙을 지켜야 하며, 동일 처리의 중복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기본 원칙을 지키면 누구나 쉽게 가독성 높은 플로우차트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보드믹스(Boardmix)는 다양한 순서도 기호와 흐름선을 기본 제공하고, 실시간 협업까지 지원해 팀 단위 작업에 최적화된 도구입니다.